본문 바로가기 글로벌 네비게이션 바로가기

경희의료원 로고

신장이식센터

  •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관리 체계 운영

    소개글

    신장이식센터에서는 신장과 간장에 대한 장기이식을 시행하며, 장기이식 대기자 등록과 장기기능 활성화, 환자 관리와 교육 등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관리 체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.

    신장이식이란 기존의 치료법으로 회복하기 힘든 각종 말기 질환자의 장기를 뇌사자 및 생체에서 기증된 건강한 장기로 대체하는 수술로, 장기부전 환자를 위한 최선의 치료 방법입니다. 경희의료원은 1978년에 첫 신장이식술을 성공리에 시행한 후, 오랜 경험을 축적하며 우수한 치료 성적을 보유했습니다. 2010년도에는 ‘뇌사판정대상자관리전문기관(HOPO)’으로 지 정받아 뇌사 판정과 장기 적출 및 이식을 전문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기이식 분야의 최상위 전문기관으로 공인받았습니다.

    신장이식센터는 이식 후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합병증을 관리하는 최고의 의료진들과 함께 장기이식 코디네이터를 통한 장기이식 및 기증에 대한 상담, 수술 전후의 환자 교육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 약사, 영양사, 이식병동, 사회경제적인 지원을 위한 사회복지사 등 각 분야별 전문가들이 팀을 이루어 철저한 환자 관리 프로그램, 실질적인 전문 상담과 교육 서 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.

    신장이식센터는 뇌사 장기기증 활성화와 함께, 많은 이식 대기자와 그 가족들이 이식을 통해 새로운 삶을 얻고 사회에 복귀하여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게 하고 있습니 다. 또한 혈액형 부적합 이식, 교환 이식 등 장기수급의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는 첨단 연구와 진료를 계속해 나가고 있습니다.

    신장이식 진행절차 : 생체이식의경우 - 신부전 환자와 신장 공여자가 함께 신장냐과(장기이식센터) 를 방문하여 신장이식에 대한 설명을 듣고 두분이 함께 신장이식에 필요한 사전 검사를 합니다. 검사결과가 이식수술에 적합하다고 판정되면 이식팀에서 신장이식 수술 시행을 최종 결정하거 진행하게 됩니다. / 1.신장내과 또는 장기이식센터 방문(공여자와 함께) 2.적합성검사 혈액형 검사 조직형 검사 세포독성항체 검사(HLA CROSS MATCHING) 3.이식 전 준비를 위한 검사(공여자와 함께 2박 3일간 입원) 4.신이식팀에서 수술 결정 5.수술(보통 2~3주 간 입원) 6.퇴원 후 외래 통원 치료신장이식 진행절차 : 뇌사자이식의 경우 - 신장공여자가 없어서 뇌사자의 신자을 이식 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장기이식센터에 오셔서 상담을 하고 국립장기이식관리기관(KONOS)에 신장이식 수혜 대기자 등록을 하셔야 합니다. 이후 뇌사자가 발생하면 정해진 규정에 따라 신이식 대상자가 결정이 되고, 결정 후 연락이 가면 신장이식수술을 준비 하게 됩니다. / 1.신장내과 또는 장기이식센터 방문 2.이식전 준비를 위한 검사 3.국립장기이식관리 기관(KONOS) 신장이식 수혜 대기자 등록 4.뇌사자 발생(정해진 구정에 따라 신이식 대상자 선정) 5.즉시 입원후 최종 검사(신이식팀에서 수술 결정) 6.수술(보통2~3주 간 입원) 7.퇴원 후 외래 통원 치료

챗봇상담 닫기

챗봇상담

로딩중 페이지 로딩중입니다.

잠시만 기다려주시기 바랍니다.

로딩중